useSWR 3

useSWR 똑똑하게 사용하기 (2)

https://jjongsk.tistory.com/entry/useSWR-%EB%98%91%EB%98%91%ED%95%98%EA%B2%8C-%EC%82%AC%EC%9A%A9%ED%95%98%EA%B8%B0 useSWR 똑똑하게 사용하기 useSWR이 좋은 라이브러리라고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useSWR에 관련된 대부분의 글들에서 좀 더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는 경우는 많이 보지못했기에 가볍 jjongsk.tistory.com 추가)이 방식대로 코딩을 진행하다가 아주 큰 문제를 발견하였다. 일단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swr을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아래의 방식대로 swr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key와 일치하는 mutation을 동작하지 않게 해버리는 치명..

frontend 2023.01.14

useSWR 똑똑하게 사용하기

useSWR이 좋은 라이브러리라고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useSWR에 관련된 대부분의 글들에서 좀 더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는 경우는 많이 보지못했기에 가볍게 useSWR의 좀 더 섹시한 사용방법중 한가지를 공유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먼저 공식문서의 useSWR의 간단한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아마? useSWR을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는것이 나쁜것은 절대 아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사용을 할 때에 간과하는 부분이 있을수도 있을 것 같다.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저 첫번째 인자가 단순하게 api path를 적는것이 아닌 key라는 것이다. useSWR은 저 key를 기반으로 f..

frontend 2023.01.14

Cross-domain 환경에서 oauth를 통한 access-token 쿠키 등록하기

오늘의 이슈는 cross-domain 환경에서 쿠키가 등록 되지 않는것에서 시작된 이슈였다.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server domain에는 쿠키가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지만 web domain에는 쿠키가 등록이 되지않아 유저정보를 받아올 수 없는 이슈였다. 먼저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는 A라는 도메인을 가진 next.js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 B라는 도메인을가진 koa로 만들어진 서버가 존재하며 두 개의 project에서 oauth를 사용해야 할 일이 있어 kakao,google oauth를 연동하게 되었다. 이는 localhost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지만(도메인이 같음) release시 cross-domain환경이 되어 쿠키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지 않는 이슈가 발생하였다. 왜 이런 이슈가 발생하게 ..

browser 2023.01.14